제안이유
신체이미지란 체형, 외모 등에 관한 주관적 인식을 뜻합니다. 주목할 점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신체이미지 왜곡은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정신 건강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통계청의 ‘청소년 신체이미지 왜곡 인지율’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자신이 신체이미지 왜곡을 하고있다는 사실 조차도 정확히 인식하지 못 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저희는 청소년의 부정적 신체 이미지 형성에는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미디어’를 주원인으로 파악했습니다. 이 ‘미디어’에서 보이는 신체 관련 이미지와 표현들은 청소년 문화에서 공유되는 이상적인 미에 대한 기준 형성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게다가, 이러한 미디어의 지속적인 노출은 수용자에게 획일화된 신체 기준을 갖게 합니다. 부정적 신체이미지를 가진 청소년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다이어트 보조제의 광고가 청소년에게 덜 노출되길 바라는 마음을 가지게 되어 정책을 제안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의견 작성하기
의견 작성하기가 종료 되었습니다.